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덤프버전 :


지진
[ 지진 관련 정보 펼치기 · 접기 ]
최근 발생한 주요 지진
국내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발생시각 (UTC+09:00)규모진원최대진도
2023년 12월 23일
04시 34분 05초
M 3.0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
쓰나미 여부
미발령
예상 최고높이: - m
실측 최고높이: - m


[ 역사지진 ]

역사지진
(1904년 이전)
발생순서명칭규모
(추정)
(M)
최대 진도
(추정)
(MMI)
189년 서울 지진6.7~7.0
2100년 경주 지진6.7
3304년 경주 지진6.1
46.7
5779년 경주 지진6.3~7.0
61036년 경주 지진6.4
71455년 순천 지진6.4
81518년 한성 지진6.7
91597년 백두산 지진7.7~8.0
10
11
121643년 합천 지진6.4~6.7
131643년 울산 대지진6.7~7.4
141681년 양양 대지진6.5
157.5
161810년 부령 지진6.7
171899년 대한제국 지진-[X]
[X] 자료없음

[ 비공식 계기지진 ]

비공식 계기지진
(1905년 ~ 1977년)
발생순서명칭규모
(M)
최대 진도
(MMI)
11921년 경주 지진 4.2
[1]
21925년 홍성 지진 4.4
[2]
31936년 지리산 쌍계사 지진5.3
[A]
41944년 조선-중국 국경 지진6.6
[U]
51952년 강서 지진6.4
[U]
61952년 은천 지진5.6
[U]
71960년 길주 해역 지진6.8
[J]
8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5.8~6.3
[K]
95.8~6.6
101973년 나진 해역 지진7.7
[J]
111975년 속초 해역 지진7.1
[J]
[1] 피해정도를 통한 추정[2] 감진정도를 통한 추정[A] 우리나라 계기지진의 진도와 규모 관계 분석 논문을 참고함.[U] A B C USGS[J] A B C 일본 기상청 발표이며, 일본 기상청 진도를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 변환[K] 한국 기상청, 일본 기상청 진도일 경우 수정 메르칼리 진도로 단순 변환, 진도문서 참조

[ 계기지진 ]

기상청 계기지진
(1978년 이후)
발생순서명칭규모
(M)
최대 진도
(MMI)
11978년 속리산 지진5.2
[A]
21978년 홍성 지진5.0
[A]
31980년 의주 지진5.3
[U]
41982년 사리원 지진4.5
[K]
51994년 울산 해역 지진4.6
[K]
64.5
71994년 홍도 해역 지진4.9
[K]
81996년 영월 지진4.5
[1]
91997년 경주 지진4.2
[2]
102004년 울진 해역 지진5.2
112007년 평창 지진4.8
12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4.9
132016년 울산 지진5.0
142016년 경주 지진
(9.12 지진)
5.1
155.8
[3]
162017년 포항 지진5.4
[4]
172018년 포항 지진4.6
182019년 동해 해역 지진4.3
19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4.9
202022년 괴산 지진4.1
212023년 강화 지진3.7
222023년 동해 해역 지진4.5
232023년 장수 지진3.5
-2023년 어랑 해역 지진[5]
(심발지진)
4.9
242023년 경주 지진4.0
[A] A B [U] [K] A B C [1] USGS 기록#과 논문 1996년 12월 13일 영월 지진의 진도 및 에너지감쇠에 관한 연구,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피해 및 진도 분석, 20C 한반도 지진활동 특성과 영월지진(1996년12월13일)의 피해 및 진도 분석를 참고함.[2] USGS 기록#과 논문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 및 파형분석, 1997년 6월 26일 경주지진의 진도분석 및 지진 지질학적 의의를 참고함.[3]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는 Ⅵ이었으나, USGS의 기록#, 이후 발표된 기상청 보고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의 모의 영상의 표기 등을 참조하여 Ⅶ로 정함.[4] 기상청 발표 최대진도는 Ⅵ이었으나, 규모 4.3의 여진#에서 최대진도 Ⅶ을 관측한점, USGS의 기록# 지진 이후 발표한 기상청 포항지진 분석 보고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지진정보서비스의 모의 영상의 표기 등을 참조하여 Ⅶ로 정함.[5] 해당 지진은 국내지진 영역 내부에서 발생했으나, 기상청에서 공식 발표하지 않았음.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파일: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png
발생
(UTC+9)
2013년 5월 18일 7시 2분 24초
진앙인천 백령도 남쪽 31km 해역


KMA: 37.68°N 124.63°E
USGS: 37.631°N 124.531°E
규모ML 4.9 / Mw 4.8[1]
진도백령도 주변
연평도 주변
인천, 서산, 태안
지진활동규모 2.0 이상 전진 4회
규모 2.0 이상 여진 12회
규모 2.0 미만 미소지진 포함 총 100회 이상[2]
1. 개요
2. 지진활동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KBS 뉴스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은 2013년 5월 18일 인천 백령도 남쪽 31km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9의 지진이다. 이 지진이 발생하기 전과 후 수차례의 비슷한 규모의 전진과 여진이 발생하여 군발지진(또는 군집지진)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1978년 기상청 계기관측 이후 발생한 군발지진 중 규모가 가장 큰 지진이다.

지진이 해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규모 4.9 지진 이외의 지진은 모두 무감지진이었다.


2. 지진활동[편집]


기상청에서 발표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만 기재되었다. 미소지진까지 포함하면 실제로는 100회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발생일시
(UTC+9)
진앙규모비고
5월 14일20시 17분 54초인천 백령도 남남동쪽 30km 해역2.8전진
5월 15일8시 34분 11초인천 백령도 남쪽 27km 해역2.7
8시 48분 10초인천 백령도 남쪽 30km 해역2.8
5월 18일3시 0분 58초인천 백령도 남남동쪽 31km 해역3.5
7시 2분 24초인천 백령도 남쪽 31km 해역4.9본진
7시 24분 13초인천 백령도 남쪽 29km 해역2.2여진
7시 26분 10초인천 백령도 남쪽 31km 해역3.3
7시 54분 28초인천 백령도 남쪽 29km 해역2.5
9시 13분 10초인천 백령도 남쪽 32km 해역2.4
9시 32분 42초인천 백령도 남남서쪽 36km 해역2.5
11시 45분 15초인천 백령도 남쪽 32km 해역3.9
14시 9분 40초인천 백령도 남쪽 27km 해역2.6
16시 18분 48초인천 백령도 남남서쪽 30km해역2.1
5월 19일5시 27분 13초인천 백령도 남남동쪽 25km 해역2.3
5월 21일16시 17분 53초인천 백령도 남쪽 33km 해역3.7
6월 10일14시 1분 28초인천 백령도 남쪽 27km 해역2.1
11월 10일16시 28분 54초인천 백령도 남쪽 33km 해역2.0


3. 둘러보기[편집]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한반도 지진
2007년 평창 지진 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2016년 울산 지진
문서가 존재하는 2013년 지진
2012
2013
2014
발생일규모지진명최대진도
2. 12.
M5.12013년 길주 인공지진
4. 13.
M6.32013년 아와지시마 중부 지진
6-
4. 20.
M7.02013년 쓰촨성 지진
5. 18.
M4.92013년 백령도 해역 지진
10. 15.
M7.22013년 필리핀 세부 지진
||





[1] 기상청 지진연보[2] #